AI 자동화 시대, 새롭게 떠오른 직무들 총정리
안녕하세요. 라이선스쩐입니다.
최근 AI에 대해서 엄청난 관심이 많기에 저도 조사해 보고 정리 해 보았습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인공지능 덕분에 생겨난 일자리, 어떤 것들이 있을까?
AI 자동화 기술의 발달은 많은 일자리를 대체했지만, 그만큼 새롭고 독특한 직무도 탄생시켰습니다.
기존에는 없던 직군이 생기고, 전통 산업에서도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전문 인력이 필요해졌죠.
이 글에서는 AI 자동화로 인해 만들어진 대표적인 신직무들을 정리해보고,
각 직무의 특징과 역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I 프롬프트 엔지니어
프롬프트 엔지니어는 인공지능 모델이 더 정확하고 유용한 결과를 내도록
적절한 입력 문장을 설계하는 전문가입니다.
주로 자연어처리(NLP) 기반의 대형 언어모델과 함께 작업하며,
교육, 금융, 제조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됩니다.
AI의 성능을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한 고급 언어기획자로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 커리션 전문가
AI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셋을 선별하고 정제하는 일을 담당합니다.
단순 수집이 아닌 품질 높은 데이터를 구성해 AI의 학습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개인정보 보호, 편향성 제거, 정확성 등을 고려해 데이터를 정리하는 고난이도 직무입니다.
AI 윤리 책임자(AI Ethics Officer)
AI 기술의 확산과 함께 등장한 직무로, AI의 윤리성과 사회적 책임을 검토합니다.
인간 중심의 설계와 AI 편향성 최소화, 공정한 알고리즘 적용 여부 등을 관리합니다.
기술적 역량뿐 아니라 사회학, 철학, 법률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이 요구됩니다.
머신러닝 운영 관리자(ML Ops Manager)
AI 모델을 실제 시스템에 안정적으로 배포하고, 유지·보수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기존의 DevOps(개발-운영 통합) 방식에 머신러닝 특성을 결합한 직무로,
모델 업데이트, 성능 관리, 자원 효율화 등이 주요 업무입니다.
AI 기반 콘텐츠 큐레이터
AI가 생성한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 콘텐츠를 검토하고 선별하는 일을 합니다.
예술, 마케팅, 미디어 분야에서 특히 수요가 높으며,
AI의 창작 결과물 중 유용하고 인간 친화적인 콘텐츠를 선별합니다.
AI 트레이닝 시뮬레이터 디자이너
가상환경에서 AI가 훈련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공간을 설계합니다.
자율주행차, 로봇, 드론 등의 AI가 실제 환경처럼 반응할 수 있게
가상의 시나리오와 센서 환경을 구성하는 고급 직무입니다.
AI 법률 해석 컨설턴트
AI가 판단하거나 생성한 정보에 대해 법적 판단이 필요한 경우,
관련 법률을 검토하고 해석하는 전문 인력입니다.
특히 저작권, 개인정보 보호, 계약서 자동생성 등 AI와 법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AI 기술팀과 법무팀 간의 가교 역할을 합니다.
주요 AI 신직무 요약표
직무명 핵심역할
프롬프트 엔지니어 | 입력 설계로 AI 응답 최적화 |
데이터 커리션 전문가 | AI 학습 데이터 품질 관리 |
AI 윤리 책임자 | AI의 공정성과 투명성 감독 |
ML Ops 관리자 | AI 모델 운영 및 유지관리 |
직무명 산업 활용도 연봉 전망 요구 역량
AI 콘텐츠 큐레이터 | 미디어, 디자인 | 중상 | 감성 분석, 트렌드 감각 |
트레이닝 시뮬레이터 디자이너 | 제조, 운송 | 상 | 3D 모델링, 시나리오 설계 |
법률 해석 컨설턴트 | 법무, IT | 중상 | 법률+기술 복합 지식 |
'인사이트 > 인공지능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 창의성, AI로 대체될 수 있을까? 진짜 중요한 질문입니다 (0) | 2025.07.27 |
---|---|
AI 윤리 논란으로 멈춘 글로벌 프로젝트 5가지 사례 (0) | 2025.07.26 |
AI가 만든 그림, 예술일까 기술일까? 클릭 한번으로 끝내는 해답 (0) | 2025.07.26 |
AI로 진화하는 회계와 재무 분석, 정확도는 어디까지 올라갔나? (0) | 2025.07.25 |
AI 기술로 재편되는 보험 산업의 미래 판도 (0) | 2025.07.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