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사이트/전문기술8

시스템반도체와 MGO, 그리고 악조노벨의 반도체 소재 혁신 차세대 정보처리 반도체와 첨단 소재가 만드는 미래 산업의 변화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끄는 핵심 부품 중 하나가 시스템반도체입니다.메모리 중심에서 벗어나 연산·제어·처리 기능을 담당하며, 이를 뒷받침하는MGO 절연소재와 글로벌 화학기업 악조노벨의 특수코팅 기술이 반도체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시스템반도체의 정의와 범위시스템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연산·제어·처리를담당하는 반도체입니다. CPU, GPU, 이미지 센서, 전력반도체, ASIC 등 다양한종류가 있으며, 전자기기의 두뇌 역할을 수행합니다.시스템반도체의 산업적 가치5G,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 차세대 기술은 시스템반도체 없이는구현이 어렵습니다. 특히 하나의 칩에 여러 기능을 집적하는 SoC(Syst.. 인사이트/전문기술 2025. 8. 8.
전기공학 기초를 탄탄히! 필수 계산기 모음 소개 전기전자 설계의 첫걸음은 기초 계산부터입니다. 옴의 법칙, 전력 계산, 전압 분배,전류 분배 등은 모든 회로 설계의 근간이 되는 공식들입니다. 이 글에서는 ElectroCalc의기본 전기 계산기 기능들을 소개하며, 전기공학 입문자부터 전문가까지 실무에 바로활용할 수 있는 계산 방식들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ElectroCalc 보러가기 옴의 법칙 V=IR, 가장 기본이지만 가장 중요한 공식전기공학에서 V=IR은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전압(V), 전류(I), 저항(R)의 관계를나타내는 이 공식 하나만으로도 많은 회로 분석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저항값과전류를 알고 있다면 전압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실시간으로 다음 3가지 경우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입력 값 종류 계산 결과전류와 저항전압(V)전.. 인사이트/전문기술 2025. 7. 29.
전기지게차 시스템에서의 CANopen 설계 및 적용 경험: 15년간의 전문 여정 안녕하세요. 라이선스쩐입니다.저는 간단히는 지게차 설계를 오래했던 엔지니어입니다. 지금도 비슷한 종류의 업무를 하고 있지만, 오랜 기간의 업무 내용과 경험을 정리하고 싶어서 차근차근 정리 해 보고 있습니다. 서론: CANopen과의 만남산업용 전기지게차 제어 시스템 개발 분야에서 15년간 일하면서, 저는 자동화 시스템의 신경망이라 할 수 있는 CANopen 프로토콜의 발전과 적용 과정을 가까이에서 지켜봤습니다. 2008년 처음 이 분야에 발을 들였을 때만 해도 대부분의 지게차 시스템은 독자적인 CAN 프로토콜을 사용했고, 상호 호환성은 꿈도 꾸기 어려웠습니다. 그 시절 제가 참여했던 첫 프로젝트는 3톤급 전기지게차의 제어 시스템을 재설계하는 것이었는데, 여기서 저는 CANopen의 가능성을 처음 발견했습.. 인사이트/전문기술 2025. 3. 20.
SAE J1939를 활용한 산업용 지게차 설계 경험과 통찰 안녕하세요. 라이선스쩐입니다.저는 간단히는 지게차 설계를 오래했던 엔지니어입니다. 지금도 비슷한 종류의 업무를 하고 있지만, 오랜 기간의 업무 내용과 경험을 정리하고 싶어서 차근차근 정리 해 보고 있습니다. 실제 지게차 설계 프로젝트에서의 SAE J1939 구현 경험과 오랜 기간의 현장 노하우를 공유하고 싶어서 정리 해 보았습니다. 목차서론: 산업용 지게차와 통신 프로토콜의 중요성지게차 설계에서의 SAE J1939 선택 배경프로젝트 초기: 네트워크 아키텍처 설계부품 선정과 통합의 도전 과제실제 구현 사례: ECU 간 통신 구성발생했던 문제점과 해결 방법장기적 운영에서 얻은 교훈미래 지게차 설계를 위한 제언결론: 산업용 장비 설계에서 통신 프로토콜의 역할서론: 산업용 지게차와 통신 프로토콜의 중요성현대 산.. 인사이트/전문기술 2025. 3. 18.
DeviceNet 경험을 통해 바라본 산업용 네트워크의 발전과 현재 안녕하세요. 라이선스쩐입니다.오늘은 제가 직접적인 경험과 직장에서의 내용을 기반으로 DeviceNet이라는 기술을 정리 해 보고자 합니다.산업 자동화의 핵심, DeviceNet 기술을 직접 다루며 얻은 통찰과 20년간의 변화서론: 2002년, 내 첫 번째 DeviceNet 프로젝트2002년, 첫 직장에서 나는 생소하지만 흥미로운 도전에 직면했습니다. 당시 최신 기술이었던 DeviceNet 네트워크를 구현하여 공장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는 프로젝트였습니다. 막 대학을 졸업한 신입 엔지니어로서, 산업용 네트워크의 실질적인 응용은 대학 교육과는 전혀 다른 세계였습니다.우리 팀은 자동차 부품 제조 공장의 조립 라인을 현대화하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기존의 하드와이어드 제어 시스템을 보다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네트.. 인사이트/전문기술 2025. 3. 18.
CAN 통신에서 종단저항의 중요성 https://blog.naver.com/jjjmans/222277844538 CAN 통신에서 종단저항의 중요성 안녕하세요. 라이선스쩐입니다. 오늘은 정말 오랜만에 일기를 하나 적어 봅니다. 시간도 여유도 없어서 요... blog.naver.com 인사이트/전문기술 2022. 2. 2.
CAN 통신에서 종단저항의 중요성 https://blog.naver.com/jjjmans/222277844538 CAN 통신에서 종단저항의 중요성 안녕하세요. 라이선스쩐입니다. 오늘은 정말 오랜만에 일기를 하나 적어 봅니다. 시간도 여유도 없어서 요... blog.naver.com 인사이트/전문기술 2022. 2. 2.
CAN 통신에서 종단저항의 중요성 오늘은 정말 오랜만에 일기를 하나 적어 봅니다. 시간도 여유도 없어서 요즘은 포스팅하는 시간이 너무 없는 것 같습니다. 시간을 좀 내어서 블로그 관리를 좀 해야 할 듯합니다. 제가 대학을 졸업 후, 첫 회사에서 CAN 통신이라는 것을 처음 접하게 되었습니다. 약 2년간의 여러 통신규약에 대해서 학습하고 업무를 한 결과, 현재까지 아래와 같은 통신규약들에 대해서 접해 본 이력이 있습니다. 약 20년 전까지만 해도 CAN 통신에 대해서 크게 적용되지 않았기에 큰 의미를 가지지 못했으나, 약 20여 년이 지난 지금에서도 CAN 통신이 여러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보면 정말 중요하고 노이즈에 강한 통신 기법임은 틀림없는 것 같습니다. 현재까지 제가 접해 본 통신규약을 요약해 보고 싶어집니다. 1. De.. 인사이트/전문기술 2021. 3. 16.